본문 바로가기

특수교육 이론에 관하여

장애의 개념과 특수교육의 이해

신체적장애 심장장애인 심장의 기능 부전으로 인한 호흡곤란 등의 장애로 일상생활에 상당한 제약을 받는 사람 폐나 기관지 등 호흡기관의 만성적 기능부전으로 인한 호흡기능의 장애로 호흡기장애인 일상생활에 상당한 제약을 받는 사람 간의 만성적 기능부전과 그에 따른 합병증 등으로 인한 간기능의 장애로 일 간장애인 상생활에 상당한 제약을 받는 사람 안면장애인 안면 부위의 변형이나 기형으로 사회생활에 상당한 제약을 받는 사람 장루·요루 배변기능이나 배뇨기능의 장애로 인하여 장루(陽慶) 또는 요루(尿度)를 시술 장애인 하여 일상생활에 상당한 제약을 받는 사람 뇌전증에 의한 뇌신경세포의 장애로 인하여 일상생활이나 사회생활에 상당 뇌전증장애인 한 제약을 받아 다른 사람의 도움이 필요한 사람 정신 발육이 항구적으로 지체되어 지적 능력의 발달이 불충분하거나 불완전하 지적장애인 고 자신의 일을 처리하는 것과 사회생활에 적응하는 것이 상당히 곤란한 사람 소아기 자폐증, 비전형적 자폐증에 따른 언어·신체표현 · 자기조절 · 사회 자폐성장애인 적응 기능 및 능력의 장애로 인하여 일상생활이나 사회생활에 상당한 제약 을 받아 다른 사람의 도움이 필요한 사람 지속적인 정신분열병, 분열형 정동장에(情動障碍: 여러 현실 상황에서 부적 적한 정서 반응을 보이는 장에), 양극성 정동장에 및 반복성 우울장애에 따 정신장애인 른 감정 조절 · 행동·사고 기능 및 능력의 장에로 인하여 일상생활이나 사회생활에 상당한 제약을 받아 다른 사람의 도움이 필요한 사람 장애를 어떻게 정의하는가는 시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과거에는 세계보건기구 (WHO)에 의해 제시된 장애의 개념이 널리 수용되었다. 즉, 장애를 질병(disease), 손상 (impainment), 무능력(disability) 그리고 불이익(handicap)이라는 용어로 설명한 것이다. 이 러한 과정은 일종의 의료적 모델에 의한 연속적 · 인과적 개념으로, 장애를 개인의 책임 으로 봄으로써 장애인에 대한 부정적 시각을 야기했다. 이와 같은 개념은 장애는 그 자체의 문제가 아닌, 잔해로 인한 인간의 기능적 제약이 근본적인 문제라는 시각이 대두되면서 (윤광보, 20101, 회로 하는 장애를 손상 그리고 활동 (activity)과 참여(participation)에 제한이 있는 경우로 보는 시각으로 바뀌었다. 국제 기능 · 장애·건강 분류(ICF)에 따르면, 신체 기능과 신체 구조에 손상이 있거 나 개인에 의한 임무 혹은 일상 행위의 활동에 제한이 있거나 실질적인 생활환경의 참 여에 있어서 경험하게 되는 한계가 있을 때 장애기 있다고 본다. 여기서 손상과 활동은 개별적 모형의 개념을, 참여는 사회적 모형의 개념을 포함한 것이다. 뿐만 아니라 환경 적 요인과 개인적 요인을 추가함으로써 장애의 원인을 단순히 개인적 요인에 두는 것이 아니라 환경적 요인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특수교육의 이해 특수교육의 개념 모든 사람은 자신만의 독특하고 개별적인 특성을 지니고 있는데, 장애학생 역시 이렇 게 다양한 개인적 특성이 표출되는 연속선상의 한 부분으로 설명이 가능하다. 이는 아주 우수한 학생들이 가지는 능력을 개인적인 특성으로 보는 것과 같은 맥락인 것이다. 장애 라는 특보는 사실 학생들과 아주 우수한 학생들 모두가 동일한 방법으로 획일적인 교육 을 받을 다 사신의 특성에 적합한 방법으로 교육을 받는 것이 적절하다. 따라서 개 인적 복 서 있어 현저한 차이를 보이는 학생들을 위해 특별히 설계된 교육을 특수교육 이라 할 수 있다. 일반적인 학생들과는 개인적 특성이 명확히 구분되는 학생을 대상으로 이루어지는 교육을 특수교육이라고 할 때 매우 우수한 능력을 가진 학생들을 위한 교육은 영재교육, 장애로 인해 특정 영역에서 대부분의 학생보다 현저하게 뒤처지는 능력을 가진 학생들 을 위한 교육은 장애인교육으로 구분할 수 있다. 따라서 특수교육은 학문적 입장에서는 영재교육과 장애인교육을 모두 포괄하지만, 일반적으로는 영재교육을 제외한 장애인교육만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