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공통 교육과정 (1) 초등학교 초등학교의 교육은 학생의 학습과 일상생활에 필요한 기초 능력 배양 및 기본 생활 습관 형성, 바른 인성의 함양을 목표로, 교과(군)는 국어, 사회/도덕, 수학, 과학/실과, 체육, 예술(음악/미술), 영어로 구성하고, 초등학교 1, 2학년의 교과는 국어, 수학, 바른 생활, 슬기로운 생활, 즐거운 생활로 구성한다. 창의적 체험활동은 자율활동, 동아리 활동, 봉사활동, 진로 활동으로 구성한다. 1시간 수업은 40분을 원칙으로 학교와 학생의 상황에 따라 탄력적 편성이 가능하며, 연간 34주를 기준으로 2년간의 최소 기준 수업 시수를 정하여 실시하고, 실과의 수업은 5~6학년만 수업시수에 포함한다. (2) 중학교 중학교의 교육은 초등학교 교육의 성과를 바탕으로, 학생의 학습과 일상생활에 필요한 기본 능력과 바른 인성, 민주시민의 자질 함양을 목표로, 교과(군)는 국어, 사회(역사 포함)/도덕, 수학, 과학/기술 · 가정, 체육, 예술(음악/미술), 영어, 선택으로 구성된다. 선택은 한문, 정보, 환경과 녹색성장, 생활 외국어(독일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중국어, 일본어, 러시아어, 아랍어, 베트남어), 보건, 진로와 직업, 재활과 복지 등의 선택 과목이 있으며, 창의적 체험활동은 자율활동, 동아리 활동, 봉사활동, 진로 활동으로 구성된다. 4) 선택 교육과정 선택 교육과정은 고등학교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편성된 교육과정으로, 교과와 창의적 체험활동으로 구성되며, 교과는 다시 보통 교과와 전문 교과로 구분된다. 보통 교과는 기본 과목과 일반 과목, 심화 과목으로 구분되고, 보통 교과 영역은 기초, 탐구, 체육 · 예술, 생활 · 교양으로 구성하며, 교과(군)는 국어, 수학, 영어, 사회(역사/도덕 포함), 과학, 체육, 예술(음악/미술), 기술 · 가정/제2외국어/한문/교양으로 구성된다. 전문 교과는 농생명 산업, 공업, 상업 정보, 수산·해운, 가사·실업, 직업, 의료(해부 · 생리, 병리, 안마 · 마사지 · 지압 등 시각장애 학교에만 해당)에 관한 교과로 구성되고, 창의적 체험활동은 자율활동, 동아리 활동, 봉사활동, 진로 활동으로 구성된다. 또한 단위를 교과목별로 제시하여 학교별 세부 내용을 편성할 수 있도록 한다. 기준령」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 「장에 이동 복지지원법/시행령/ 시행규칙」「발달장애인법」 「장애인복지법 시행령/시행규칙」 등이 있다. 4. 이후의 과제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이 기존의 장애인 교육의 문제를 해결하려면 먼저 특수교육을 해야 하는 사람에 대한 진단과 평가 기준이 구체적으로 적용되어야 한다. 이러한 구체화한 방안은 형식적으로 이루어지기 쉬운 '통합교육’ ‘개별화 교육' '순 이슬람교 육' 시행에서도 마찬가지이며, 현재 진행되고 있는 장애인복지발전 5개년계획처럼 되지 않기 위해서 장애인에 대한 특수교육종합계획의 수립과 중앙행정기관 간에 긴밀한 협조체제, 특수교육운영위원회, 특수교육에 관한 연차보고서, 장애인 평생교육과 정 등에 대한 구체화한 시행령과 시행규칙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의 목적인 유치원과 고등학교 과정의 의무교육 도입, 장애의 조기발견체제 구축, 무상 장애 영아 교육을 통한 조기교육 기회 부여, 대학 내 장애 학생지원센터의 설치와 편의 제공 의무화,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 등의 장애 성인 평생교육시설 설치 그리고 장애인에 대한 생애주기별 교육지원 체계의 확립이 조기에 달성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특수교육 이론에 관하여' 카테고리의 다른 글
AAIDD와 지적장애인 교육의 역사 (0) | 2021.04.15 |
---|---|
지적장앵의 용어 및 정의 (0) | 2021.04.15 |
특수교육과정 편성과 운영 (0) | 2021.04.15 |
특수교육대사장의 교육 (0) | 2021.04.15 |
특수교육대상자의 선정과 배치 (0) | 2021.04.15 |